99년부터 쭈욱 Editplus를 써왔는데 이번에 08-02-11일 버전 3.0이 나와 기대에 찬 마음으로 Editplus3.0을 설치해보았다. Editplus 3.0 : 최신 버전 다운로드 - v3.0 (2008-02-11) http://www.editplus.com/kr/download.html 설치과정은 별반 차이 없다. 단지 설치 첫페이지가 생기고, "Editplus Text Editor v3.00 Setup" 이라는 메시지.. 그래 3.0 이구나 ㅡㅅㅡ; 그러나 그 뒤에 설치과정은 기존과 거의 동일하다.. 음 이건 조금 틀리군.. 자 설치가 완료되고 3.0의 막강 인터페이스를 기대 하면 켜봤다!! 똑같다.. 2.x와.... 솔직히 아직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한 필자 -ㅁ -; 차이점이 느껴지면 다..
이건 대화내용인데... 김선우 [오전 11:38]: http://blogs.msdn.com/mswanson/archive/2007/12/18/silverlight-slide-show.aspx 이거 바바 저거 소스 못구하나? 아 소스 있네 http://www.codeplex.com/SlideShow 화질 죽이네 silverlight로 하니깐 권지원 [오전 11:39]: 헐 김선우 [오전 11:39]: 저거 소스좀 까바 웹서비스로 플리커 에 접속해서 이미지 가져오네 저거 좋지? 대화에 첫번째 주소에 가시면 실버라이트 슬라이드 쇼를 보여주는 실버라이트가 있죠. 소스는 두번째 주소인 Codeplex에 있습니다. 간만에 재밌는 장난감거리 생겼네요 ㅋㅋ
JavaScript의 Object 형식의 데이터는 내용을 보기 쉽지 않아 별도의 디버깅 툴을 이용하여 내용을 확인하게 됩니다. 급할때 다음과 같이 Objec 데이터를 덤프해주는 함수를 추가하여 내용이 무엇이 들었는지 확인하는 방법도 괜찮을 것 같네요. ^ ^ 아래는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소스입니다. 99 소스에서 보시다시피 위에는 dumpObj()에 대한 선언이 있고 아래 간단히 테스트로 var object1 을 배열로 선언해 1~4까지 각각 값을 할당하고, 배열 안의 값을 출력하는 내용입니다. 출력 할 때에는 출력내용이 줄단위로 표현되는 것을 제대로 보여주기 위헤 'pre' 테그로 감쌌습니다. 예상대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object 0: 1 1: 2 2: 3 3: 4 참고 : ..
Silverlight와 Windows Live Open API Service의 연동으로 만들어진 개발 소스 물론 전부 Silverlight는 아니고 Windows Live에서 제공하는 Open API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발의 예를 보여준다고 봐야할 듯 구글에서 제공하는 또는 야후에서 제공하는 Open API 등과 마찬가지로 오픈된 서비스를 잘 활용하면 획기적인 아이템을 창출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예제로 작성된 소스코드도 스펙을 조금 이해하고 사용한다면 어렵지 않은것 같다. http://dev.live.com/quickapps/ 데모 http://tafiti.mslivelabs.com/ 소스 http://tafiti.mslivelabs.com/ 2007/12/03 - [.NET/C#] - WPF 3..
당연히 알고 있을 내용이지만.. 아래 소스를 일단 분석해보면 1. 첫번째 붉은 코드는 div테그의 innerHTML에 직접 문자열을 추가해 나가고있고, 2. 두번째 붉은 코드는 먼저 문자열을 변수에 더해 담고, 전부 완료된 후 한번에 innerHTML에 넣고 있다. innerHTML은 화면에 표시되는 브라우져 출력 버퍼에 내용이 보내지게 되는 Property(속성) 값이라 I/O 처리가 들어가게된다. 때문에 메모리에서 처리한 후 단 한번의 브라우져 출력 버퍼로 I/O를 수행하는 2번째 코드가 훨씬 빠른 성능을 낼 수 있다. 그러므로 반복구문(for, while)에 innerHTML에 값을 넣는 실수는 하지 않도록 하자. 예제 page. http://samples.msdn.microsoft.com/work..
(자바스크립트를 통해서 처리하지만 CSS 관련된 내용과 가깝지 않은가 생각되어 CSS 카테고리에 옮겼습니다.) 먼저 두서없이 내용을 보시면 이해가 가지 않으실지 모르니... 다음 글을 읽어보시고 링크 : 배경 이미지 깜박거림(Background Image Flicker) 및 배경이미지의 반복적인 다운로드 문제에 대하여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아래와 같은 코드를 사용하는구나 하는정도로 이해하시면 되겠네요 ~ ^ ^ try { // IE only document.execCommand('BackgroundImageCache', false, true); } catch(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