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대신 기계가 잔소리한다: GitLab으로 “자동 코드 리뷰” 작업환경 만들기솔직히 말해서, 코드 리뷰… 힘들죠. 변수 이름이 이래서 안 되고, 줄바꿈이 저래서 안 되고, 테스트 안 붙였다고 또 한 소리 듣고. 팀마다 스타일 다 다르고, 바쁜데 리뷰 큐는 길어지고...그래서 오늘은 그 잔소리를 기계에게 넘길 방법을 연구해봅니다. GitLab 하나로 “자동 코드 리뷰” 환경을 만들면, 사람은 중요한 로직과 제품 의사결정에 집중하고, 형식·안전·기본 품질은 CI가 자동으로 체크하고 요약까지 해줍니다. 초보자도 따라 할 수 있게 최대한 쉽게 풀어볼게요. 설치부터 파이프라인, 보안, 요약 코멘트까지 한 번에 갑니다.참고로 글 말미에 제가 실제로 써먹는 미니멀 .gitlab-ci.yml 예시도 넣어드립니다. ..
Kafka vs Kinesis: ‘실시간 데이터 처리’의 택배 회사회사에서 로그 쏟아지고, 앱에서 클릭이 터지고, 카드 승인 알림이 비처럼 내릴 때… 이 수많은 “작은 소식들”을 안전하게 받고 흘려보내는 친구가 있어요. 그게 바로 메시지 브로커/스트리밍 서비스예요.겁먹을 필요 없어요. 일종의 택배 분류센터처럼 생각하면 되고, 메시지 브로커는 택배상자들이 흘러가는 컨베이어 벨트라고 생각하면 쉽게 개념이 잡힙니다. 들어오는 상자(이벤트)를 정확히 받아서, 각 목적지(분석, 대시보드, 알림, 저장소)로 빠르고 안전하게 분배하는 시스템이죠.오늘은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비교되는 Apache Kafka와 Amazon Kinesis를 중심으로, 언제 뭘 고르면 좋은지, 장단점과 성능, 비용, 사용자 평판까지 실전 감..
OpenAI의 새로운 오픈소스 모델, GPT-OSS: 일상 속으로 한 발짝 더!오늘은 OpenAI에서 새롭게 출시한 오픈소스 모델, GPT-OSS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해요. 오픈소스면 무료로 쓸 수 있는 거라 PC에서도 활용할 수 있겠죠? 그럼 하나씩 살펴볼까요?OpenAI의 소개 페이지 : https://openai.com/ko-KR/index/introducing-gpt-oss/1. GPT-OSS, 사람들이 실제로 써보니 어때?먼저, GPT-OSS를 사용해본 사용자들의 평가를 살펴볼게요. 많은 분들이 이 모델의 발전된 성능에 만족하는 모습이에요. 이전의 모델보다 더 자연스럽고 창의적인 대화를 만들어내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더라고요. 음악 애호가들부터 작은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분들까지, G..
최근 다양한 시스템간 연계된 Flow로 처리되는 복잡한 구조를 자동화 도구로 처리하도록 하는 자신만의 시스템을 N8N 통해 많이들 활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AI와 함께 연계하게 되면 나만의 AI Agent가 될 수 있는 거고요.저도 이번에 집에 있는 ARM 칩 기반의 Ubuntu NAS 서버에 N8N을 설치하기로 마음먹고 설치하는 과정을 정리했어요. 아래 과정을 공유 드립니다~!주의하실 점은, 대부분 가지고 계신 NAS는 Arm칩(보통 휴대폰에 들어가는 칩이에요) 기반의 NAS가 아닐거에요~ 본인의 NAS 서버 CPU 타입에 따라 아래 과정중 설치파일을 골라야 하는 점은 주의하세요! 🔧 Odroid NAS에 n8n 설치해보기 (ARM칩 기반의 서버 기준)집에 있는 Odroid에 Ubuntu 올려서 N..
처음에는 낮설었지만, 이제는 생활속에 자리잡았고, 아직 잘 활용하지 않던 분들도 어떻게 써야하는지 AI 도구들을 배우려는 움직임이 주변에도 많이 보이는 것 같아요.오늘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우리를 구원해줄 히어로, OpenAI의 'Deep Research'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2025년 2월 2일 공개된 이 새로운 기능이 우리의 연구와 정보 분석 방식을 어떻게 바꿀지, 함께 들여다보죠.추론을 사용하여 방대한 양의 온라인 정보를 종합하고 여러 단계의 연구 작업을 완료하는 에이전트입니다. 오늘 Pro 사용자, Plus 및 Team next에서 이용 가능합니다.(해당사이트에서 가져온 메시지입니다. 사용 범위의 권한 참고해주세요) Deep Research: AI가 만든 맞춤형 리서치 비서OpenAI의 ..